Sensibility/말말말
책 읽다가 밑줄 쫙 그은 것들...
불탄고구마
2009. 8. 27. 09:25
사람을 진실로 사랑한다는 것은 자아(自我)의 무게에 맞서는 것인 동시에, 외적 사회의 무게에 정면으로 맞서는 것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누구나가 그 싸움에서 살아남게 되는 건 아닙니다.
---------------------------------------------------------------------
그렇게 생각하는 건 참으로 괴로운 일이긴 하지만.... 죽음은 삶의 대극(對極)으로써가 아니라 일부로써 존재하는 것이다.
---------------------------------------------------------------------
인생이란 커피 한 잔이 안겨다 주는 따스함의 문제...
---------------------------------------------------------------------
신은 나에게 호기심만을 주었을까? 아니면 그 호기심을 실현할 여러가지 재능도 주었을까
---------------------------------------------------------------------
세계는 자신과 자신의 키 정도만큼의 감각과 일상속에서만 존재한다.
---------------------------------------------------------------------
이 세상에는 대립하는 사고방식이 120만개는 존재할 거야 아니 훨씬 더 많을지도 모르지. 그럼 거의 아무와도 친구가 될 수 없다는 얘기예요? "아마 그럴거야, 거의 아무와도 친구가 될 수 없어."
---------------------------------------------------------------------
"대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 거니? 마치 로빈슨 쿠루소 같구나?" "그 만큼 재미있지도 않아"
---------------------------------------------------------------------
"그러고 보니 경치에 신경을 써 본적이 한번도 없군" "넌 틀림없이 잘 살아남을 거야"
---------------------------------------------------------------------
여자는 잠자듯 눈을 감고 그녀의 몸무게를 묵직하게 느낀다. 그것은 불가사의한 무게였다. 남자를 사랑하고 아이를 낳고 나이를 먹어 죽어가는 하나의 존재를 지닌 무게였다.
---------------------------------------------------------------------
"저 고양이는 어떤 생각을 하죠?" "여러가지지, 나나 자네하고 똑같아" "힘들겠군요."
---------------------------------------------------------------------
사람은 무슨일에서든 노력만 하면 무언가를 배울 수 있다고 말이야. 아무리 진부하고 평범한 일이라도 반드시 무언가를 배울 수 있어 그 어떤 면도칼에도 철학은 있다고 실제로 그렇지 않으면 아무도 살아남을 수 없지 않을까?
---------------------------------------------------------------------
월급도 만족스럽고, 두 분은 친절하고, 휴가도 어김없이 챙길 수 있고, 그렇지만 난 아직 스무살이예요 이런식으로 끝나고 싶지가 않아요
---------------------------------------------------------------------
몇년만에 토하는 거지? 어떻게 토하더라. 바지를 벗었던가?
---------------------------------------------------------------------
그렇게 나는 핀볼을 그만두었다. 그럴 만한 때가 오면, 모두들 핀볼을 그만둔다. 그저 그 뿐이다.
---------------------------------------------------------------------
사람이 사람을 이해하거나, 혹은 스스로를 구제하는 일에 대한 단념. 그것은 조용한 체념이 아니라, 훨씬 강렬하고 세찬 체념이다.
---------------------------------------------------------------------
인간에게 있어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그때까지 맺고 있던 '인간의 유대 관계'가 사실은 환상외에는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을 때일 것이다. 가족도, 친구도, 단순히 습관적으로 이루어진 무의미한 관계일 뿐이고, 본질적으로 환상이라는 것을 깨달았을 때의 공허감과 두려움, 아마 어른이 된다는 것은 청년시절에 생기는 그와 같은 공포와 불안을 충분히 인식하고, 또 다시 인간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발걸음을 새로이 내디뎌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것이다.
---------------------------------------------------------------------
남자, 혹은 여자는 자신과 다른 성을 아는 것에 의해서, 그때까지의 가족이라는 온상을 벗어나 비로소 의식적으로 타인과의 관계를 생각하기 때문이다.
---------------------------------------------------------------------
모든 것은 지나쳐 간다. 그리고 아무도 그것을 붙잡을 수는 없다. 우리들은 그런 식으로 살아가고 있다.
---------------------------------------------------------------------
다정함이란 타인의 내면에 발을 들여놓지 않으려고 하는 것에서 기인하며, 그것은 '내'가 '나'의 내면에 결코 발을 들여놓지 않으려는 것이다.
---------------------------------------------------------------------
사람들이 무엇인가를 잃어버렸다고 확신하는 때는 그것을 잃은 순간이 아니라, 이미 잃어버렸음을 알아챈 때이다.
---------------------------------------------------------------------
남자, 혹은 여자는 자신과 다른 성을 아는 것에 의해서, 그때까지의 가족이라는 온상을 벗어나 비로소 의식적으로 타인과의 관계를 생각하기 때문이다.
---------------------------------------------------------------------
글을 쓰려고 하면 너무 많은 생각들이 떠올라 나는 공포에 질리곤 한다.
---------------------------------------------------------------------
비가 왔으면 싶다. 희망은 있는가, 있을 것이다. 그것이 없다면 이 도저한 삶과 삶들, 이해할 수 없는 저 사람들은 오래전에 나에겐 부재했을 것이다.
---------------------------------------------------------------------
내가 내 생에 얼마나 불성실했던가, 생을 방기했고, 그 방기를 즐겼던가...
---------------------------------------------------------------------
스스로 변화하기 얼마나 통속적인 의지인가. 그러나 통속의 힘에서 출발하지 않는 자기구원이란 없다. 난 신이 아니다.
---------------------------------------------------------------------
우리의 형이상학이나 관념들은 얼마나 사소한 고통이나 굶주림, 불만에서 출생하여 지극히 애매하고 신비적인 언어로 치장되는 것이냐, 형이하학적인 만족, 그것이 진정한 인간들의 구원이다.
---------------------------------------------------------------------
갑자기 봄이 서러워짐은 왜일까
미쳤네
---------------------------------------------------------------------
그 불명확한 것들이 나에게 요구하는 어떠한 극복들을 내가 마주서야 할 때,
나는 비틀거리는 층계 어디쯤에서 불현듯 위기감을 느낀다.
어떤 확실한 것, 즉 사소한 '확실함'이 하나라도 나에게 다가온다면
나는 요즈음의 전 생애를 그것에 걸지도 모른다고 생각했고,
그러한 생각때문에 우울해하곤 했다.
---------------------------------------------------------------------
기형도 1989년 3월7일 새벽, 종로의 한 극장에서 숨진채 발견되다.
사인은 뇌졸중, 만29세, 독신...
---------------------------------------------------------------------
에스키모인들이 옷을 벗을 수 있는 자유를 '자유'라 부르지 않는다면
우리에겐 적어도 자유가 있지 않은가라는 위안은 한낮...
---------------------------------------------------------------------
그 모든 분별을 넘어 나는 그저 행복해지고 싶었다
바로 이러한 심경의 일단이 결혼이라는 것을 부추겼는지도 모른다.
그저 심리적인 의존과 안정에의 턱없는 기대, 미리 실험해 볼 수도 없는
'가능성의 결단만이 나에게 결혼의 허상을 심어주고 있는 것 같아 두렵고 불안할 따름이다.
---------------------------------------------------------------------
몇년전 실직하고 무일푼의 룸펜으로 자취집 골방에 처박혀 세상에 대한 근거없는 원망과 증오로,
자신에 대한 연민과 비애로 작당하고 있던 때...
나는 양철북의 오스카드가 간절히 원했던 행복에의 희구를 혼잣소리로 외우고 다녔다.
"나는 행복해지고 싶다는 욕구를 귀끝까지 느꼈다."
---------------------------------------------------------------------
그렇게 생각하는 건 참으로 괴로운 일이긴 하지만.... 죽음은 삶의 대극(對極)으로써가 아니라 일부로써 존재하는 것이다.
---------------------------------------------------------------------
인생이란 커피 한 잔이 안겨다 주는 따스함의 문제...
---------------------------------------------------------------------
신은 나에게 호기심만을 주었을까? 아니면 그 호기심을 실현할 여러가지 재능도 주었을까
---------------------------------------------------------------------
세계는 자신과 자신의 키 정도만큼의 감각과 일상속에서만 존재한다.
---------------------------------------------------------------------
이 세상에는 대립하는 사고방식이 120만개는 존재할 거야 아니 훨씬 더 많을지도 모르지. 그럼 거의 아무와도 친구가 될 수 없다는 얘기예요? "아마 그럴거야, 거의 아무와도 친구가 될 수 없어."
---------------------------------------------------------------------
"대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 거니? 마치 로빈슨 쿠루소 같구나?" "그 만큼 재미있지도 않아"
---------------------------------------------------------------------
"그러고 보니 경치에 신경을 써 본적이 한번도 없군" "넌 틀림없이 잘 살아남을 거야"
---------------------------------------------------------------------
여자는 잠자듯 눈을 감고 그녀의 몸무게를 묵직하게 느낀다. 그것은 불가사의한 무게였다. 남자를 사랑하고 아이를 낳고 나이를 먹어 죽어가는 하나의 존재를 지닌 무게였다.
---------------------------------------------------------------------
"저 고양이는 어떤 생각을 하죠?" "여러가지지, 나나 자네하고 똑같아" "힘들겠군요."
---------------------------------------------------------------------
사람은 무슨일에서든 노력만 하면 무언가를 배울 수 있다고 말이야. 아무리 진부하고 평범한 일이라도 반드시 무언가를 배울 수 있어 그 어떤 면도칼에도 철학은 있다고 실제로 그렇지 않으면 아무도 살아남을 수 없지 않을까?
---------------------------------------------------------------------
월급도 만족스럽고, 두 분은 친절하고, 휴가도 어김없이 챙길 수 있고, 그렇지만 난 아직 스무살이예요 이런식으로 끝나고 싶지가 않아요
---------------------------------------------------------------------
몇년만에 토하는 거지? 어떻게 토하더라. 바지를 벗었던가?
---------------------------------------------------------------------
그렇게 나는 핀볼을 그만두었다. 그럴 만한 때가 오면, 모두들 핀볼을 그만둔다. 그저 그 뿐이다.
---------------------------------------------------------------------
사람이 사람을 이해하거나, 혹은 스스로를 구제하는 일에 대한 단념. 그것은 조용한 체념이 아니라, 훨씬 강렬하고 세찬 체념이다.
---------------------------------------------------------------------
인간에게 있어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그때까지 맺고 있던 '인간의 유대 관계'가 사실은 환상외에는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을 때일 것이다. 가족도, 친구도, 단순히 습관적으로 이루어진 무의미한 관계일 뿐이고, 본질적으로 환상이라는 것을 깨달았을 때의 공허감과 두려움, 아마 어른이 된다는 것은 청년시절에 생기는 그와 같은 공포와 불안을 충분히 인식하고, 또 다시 인간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발걸음을 새로이 내디뎌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것이다.
---------------------------------------------------------------------
남자, 혹은 여자는 자신과 다른 성을 아는 것에 의해서, 그때까지의 가족이라는 온상을 벗어나 비로소 의식적으로 타인과의 관계를 생각하기 때문이다.
---------------------------------------------------------------------
모든 것은 지나쳐 간다. 그리고 아무도 그것을 붙잡을 수는 없다. 우리들은 그런 식으로 살아가고 있다.
---------------------------------------------------------------------
다정함이란 타인의 내면에 발을 들여놓지 않으려고 하는 것에서 기인하며, 그것은 '내'가 '나'의 내면에 결코 발을 들여놓지 않으려는 것이다.
---------------------------------------------------------------------
사람들이 무엇인가를 잃어버렸다고 확신하는 때는 그것을 잃은 순간이 아니라, 이미 잃어버렸음을 알아챈 때이다.
---------------------------------------------------------------------
남자, 혹은 여자는 자신과 다른 성을 아는 것에 의해서, 그때까지의 가족이라는 온상을 벗어나 비로소 의식적으로 타인과의 관계를 생각하기 때문이다.
---------------------------------------------------------------------
글을 쓰려고 하면 너무 많은 생각들이 떠올라 나는 공포에 질리곤 한다.
---------------------------------------------------------------------
비가 왔으면 싶다. 희망은 있는가, 있을 것이다. 그것이 없다면 이 도저한 삶과 삶들, 이해할 수 없는 저 사람들은 오래전에 나에겐 부재했을 것이다.
---------------------------------------------------------------------
내가 내 생에 얼마나 불성실했던가, 생을 방기했고, 그 방기를 즐겼던가...
---------------------------------------------------------------------
스스로 변화하기 얼마나 통속적인 의지인가. 그러나 통속의 힘에서 출발하지 않는 자기구원이란 없다. 난 신이 아니다.
---------------------------------------------------------------------
우리의 형이상학이나 관념들은 얼마나 사소한 고통이나 굶주림, 불만에서 출생하여 지극히 애매하고 신비적인 언어로 치장되는 것이냐, 형이하학적인 만족, 그것이 진정한 인간들의 구원이다.
---------------------------------------------------------------------
갑자기 봄이 서러워짐은 왜일까
미쳤네
---------------------------------------------------------------------
그 불명확한 것들이 나에게 요구하는 어떠한 극복들을 내가 마주서야 할 때,
나는 비틀거리는 층계 어디쯤에서 불현듯 위기감을 느낀다.
어떤 확실한 것, 즉 사소한 '확실함'이 하나라도 나에게 다가온다면
나는 요즈음의 전 생애를 그것에 걸지도 모른다고 생각했고,
그러한 생각때문에 우울해하곤 했다.
---------------------------------------------------------------------
기형도 1989년 3월7일 새벽, 종로의 한 극장에서 숨진채 발견되다.
사인은 뇌졸중, 만29세, 독신...
---------------------------------------------------------------------
에스키모인들이 옷을 벗을 수 있는 자유를 '자유'라 부르지 않는다면
우리에겐 적어도 자유가 있지 않은가라는 위안은 한낮...
---------------------------------------------------------------------
그 모든 분별을 넘어 나는 그저 행복해지고 싶었다
바로 이러한 심경의 일단이 결혼이라는 것을 부추겼는지도 모른다.
그저 심리적인 의존과 안정에의 턱없는 기대, 미리 실험해 볼 수도 없는
'가능성의 결단만이 나에게 결혼의 허상을 심어주고 있는 것 같아 두렵고 불안할 따름이다.
---------------------------------------------------------------------
몇년전 실직하고 무일푼의 룸펜으로 자취집 골방에 처박혀 세상에 대한 근거없는 원망과 증오로,
자신에 대한 연민과 비애로 작당하고 있던 때...
나는 양철북의 오스카드가 간절히 원했던 행복에의 희구를 혼잣소리로 외우고 다녔다.
"나는 행복해지고 싶다는 욕구를 귀끝까지 느꼈다."